-
경계성 인격장애 원인 증상 치료법오늘의 좋은글 2022. 9. 1. 08:38
경계성 인격장애는 정서, 기분, 대인관계가 매우 불안정하고 기복이 매우 심한 인격장애입니다.
공허함과 권태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 자제력이 부족하며 불안정성과 거절당하고 버려질 가능성에 대한 과민성의 패턴이 만연하여 불안정한 인간관계를 맺고 매우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병률이 높으며 우울 분노를 오가며 감정 기복 심해 폭발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보입니다.
1. 경계성 인격 장애의 원인
삶의 스트레스에 서툴게 반응하는 유전적 영향과 환경적, 생물학적 요인 등의 영향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경계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 중 다수가 어렸을 때 학대를 당했거나 보호자에세서 떨어지거나 부모를 잃어버렸던 경험으로 보호자에 대한 애착의 불안정성이 경계성 인격장애 증상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장 과정 중 부모의 양가감정이 가치관에 혼란을 주어 주체성이 모호해지고 인간관계가 왜곡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2. 경계성 인격 장애의 특징
경계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분노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부적절하고 격렬하게 화를 냅니다.
대부분 친구, 연인, 가족 구성원에게 향하며 빈정대거나 분노에 차서 장황하게 비난하는 것으로 자신의 분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경계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기분 변화가 심하여 관계 초기에 상대방을 이상화하고 거절 또는 비판의 징후에 민감하여 갑자기 상대방을 얕잡아 보거나 상대방에게 화를 내는 극단적인 감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충동적으로 행동하며 과소비, 도박, 난폭운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행동은 종종 거부당하거나 버려지는 것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자신을 돌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고 낙담하여 쓸모없다는 느낌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부에서는 특정 뇌 영역의 크기와 기능 변화, 생물학적 요인 모두 영향을 미쳐 발병하는 것으로 추측합니다.
3.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
대인관계, 자아상, 불안정성과 현저한 충동성이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다섯 가지 이상 항목을 충족한다고 합니다.
1. 버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2. 타인을 과대 이상화, 과소평가하는 것을 반복하며 불안정하고 격력한 대인관계를 한다.
3.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자신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행동을 충동적으로 한다.
4. 자신에 대한 느낌 또는 자기 이미지를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을 보인다.
5. 기분 변화가 빨라 정동의 불안정성이 나타난다.
6. 자살, 자해 또는 위협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7. 만성적 공허함을 느낀다.
8. 스트레스에 의한 피해적 사고 또는 심한 해리 증상을 보인다.
9. 부적절하고 심하게 화를 내거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한다.
4. 경계성 인격장애 치료
상담을 통한 정신 치료가 가장 중요한 인지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가 있습니다.
특정 심리 치료는 자살 관련 행동을 줄이고 우울증을 완화하며 일상생활을 더 잘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경계성 인격장애 주의사항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완화되고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거나 직업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므로 이들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생활능력을 향상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자기 파괴적 충동이 일어나면 도움받을 계획을 명확하게 세워 두어야 합니다.
'오늘의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아침 인사말 (0) 2022.09.09 매력적으로 말하는 방법 3가지 (0) 2022.09.06 현명하게 잘 싸우는 방법 5가지 (0) 2022.08.30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3가지 (0) 2022.08.26 인간관계 나쁜 사람 특징 3가지 (0)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