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울시 1인가구 지원사업 도어지킴이 병원안심동행 1인가구 꿀정보
    카테고리 없음 2023. 4. 21. 16:30

    서울시 1인가구 지원사업은 서울 1인가구 포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1인가구에 대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주거환경, 생활불편처리, 홈케어서비스 등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이 있으므로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찾아 지원하면 좋을 듯합니다. 서울시 1인가구 지원사업 알토랑 같은 정보 정리해 보았습니다.

     

    서울시-1인가구-지원사업
    서울시-1인가구-지원사업

     

    1. 1인가구 안전 도어지킴이 설치 지원사업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등록되어 있는 만 18세 이상 1인가구에 지원하는 1인가구 안전 도어지킴이 지원사업은 주거침입 등 범죄에 취약한 1인 가구에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도어카메라와 긴급출동서비스를 결합한 가정용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성별 무관, 연령 무관인 1인가구 안전 도어지킴이 설치 지원사업은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혜택을 받을 수 없으며 거주지 내 무선인터넷이 가능해야 합니다. 현관 앞 카메라를 설치하고 전용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현관 앞 상황을 실시간 확인 가능하며 방문자와 음성대화 가능하며 동작감지 시스템을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용 앱을 통해 SOS 비상버튼으로 긴급출동 요청이 가능한 이 사업은 서울시가 보안업체와 체결하여 진행하는 사업으로 3년 중 1년은 1만 2000원 을 부담하고 2년은 서울시가 전액 부담합니다. 지원사업신청은 각 자치구별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서류를 작성해서 보내면 되며 예산 소진 시까지 선착순으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이 필요하신 분은 각 자치구 담당자에게 문의해 보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할 수 있습니다.

     

    2. 병원 안심 동행서비스

    혼자 병원 이용이 힘든 1인 가구 또는 다인가구지만 병원 이용에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서울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병원 안심 동행서비스는 이동에 어려움이 있으면 연령 관계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운영시간은 평일 7시부터 18시까지이고 주말은 9시부터 18시까지입니다. 단 주말에는 사전 예약만 지원 가능합니다. 신청문의는 1533-1179 또는 1in.seoul.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비용은 동행 매니저가 요청한 장소에 도착한 순간부터 이용요금이 산정되기 시작하며 시간당 5,000원이고 30분 초과 시 2500원이 추가됩니다. 차량은 별도로 제공되지 않으며 교통비는 이용자 부담입니다.

     

    3. 마음건강검진 상담 지원사업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마음건강검진 상담 지원 사업은 1인가구의 심리적 어려움을 들어주기 위해 마음건강검진과 상담이 필요한 시민에게 의료기관을 통한 상담비용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단 약물치료비 및 약물처방은 제외입니다. 정신의료 기관에서 우울증 등 정신건강검진 및 상담에 따른 본인부담금을 지원금액 내에서 검진기관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회당 4만 원 이내에서 3회 차까지 총 8만 원 지원합니다. 참여의료 기관에 대상자가 직접 전화예약 후 방문하면 되는데요 예약 시 마음건강검진상담지원사업 참여대상자임을 알리고 상담진행하면 됩니다.

     

    4. 1인 가구 안심, 주거, 금융 서비스 정리

    ·서울시 안심장비 지원사업은 서울시 1인가구, 여성 1인점포 및 스토킹 피해자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스마트 초인종, 가정용 cctv 등 범죄예방 안전장치를 제공합니다. 1인가구 '안심홈세트'는 1인가구 대상으로 스마트초인종, 가정용 cctv를 지원합니다. 1인점포 안심장비 지원은 1인점포 대상으로 음성인식 무선 밸 설치를 지원하여 24시간 스마트 안심망으로 '안심이' 연계 모니터링을 합니다. 소규모 점포 중 임대료, 규모, 범죄 취약지역 등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스토킹 범죄 피해예방 긴급지원은 스토킹 범죄피해자 등에 스마트 초인종, 가정용 cctv, 음성인식 무선 비상벨, 디지털도어록을 지원합니다. 스토킹 데이트 폭력 범죄피해 대상자 등 경찰서 연계 및 추천을 통해 대상자 선정합니다.

    ·1인 가구 금융 서비스입니다. 자산 형성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재테크 교육과 맞춤형 상담을 제공해 경제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재무진단, 소비지출 관련, 신용관리, 부동산 계약 관련 상담을 진행합니다. 서울 청년 포털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만 19세 - 39세까지 상담 신청이 가능하다.

    ·전월세반환보증보험료지원 2023년 4월 1일부터 11월 30일 예산소진 시까지 선착순 접수하며 제출서류는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소득증빙서류, 임대차계약서가 필요합니다.

     

     

    서울시 1인가구 지원사업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1인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시대적인 상황에 지원사업도 다양해지는 것 같습니다. 소개해드린 지원사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사업들이 이 씨들이 있으니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등록되어 있다면 자신에게 맞는 지원사업을 찾아 지원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